Server/Docker

[Docker] Portainer 설치

안양큰스님 2024. 1. 27. 14:26

도커 이용자라면 관리를 위해 많이들 설치하는 서버인 Portainer 설치해봅시다.

참고용 문서는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참고로 저는 Business Edition(BE) 모델을 설치했습니다. (설치 방법은 큰 차이 없음)

모든 기능이 해제되어있는 모델이고, 1년(무제한 갱신 가능) 기간에 물리적 장치 3개까지는 무료로 사용가능하니 일반적인 분이라면 BE도 추천드립니다.

 

모르겠고 그냥 확실한 무료만 쓰겠다는 분들은 Comunity Edition(CE) 설치하시면 됩니다.

 

우선 WSL이든 Ubuntu든 일단 OS에 Docker가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Docker] Docker 설치 (tistory.com)

Docker가 설치되어있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진행합니다. 권한 문제가 있다면 sudo 명령어를 맨 앞에 적어주세요.

docker volume create portainer_data

 

우선 볼륨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참고로 Docker의 볼륨은 기본적으로 아래의 경로에 생깁니다. 데이터를 백업할 일이 있다면 참고해주세요.

(설치 방법, OS 버전, 기기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WSL : /var/data/docker-desktop/default/daemon-data

Ubuntu : /var/lib/docker/volumes

 

그리고 다음을 입력합니다.

1. Ubuntu

docker run -d -p 8000:8000 -p 9443:9443 --name portainer --restart=always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portainer_data:/data portainer/portainer-ce:latest

 

2. WSL

docker run -d -p 8000:8000 -p 9443:9443 --name portainer --restart=always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portainer_data:/data portainer/portainer-ce:latest

 

BE 모델을 원하시는 분은 맨마지막에 ce를 be로 바꾸시면 될겁니다.

 

그러면 설치가 완료된건데요.

설치한 서버의 ip와 포트번호를 입력해서 접속하시면 초기 계정(관리자 권한)을 설정하고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접속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서버아이피:9443

 

완성 후

추후 다른 서버장비의 Docker에다가 portainer agent를 설치 후 portainer 메인 서버에 연결해 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하는 모든 서버들의 도커를 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추가, 수정,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Server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Docker 설치  (1) 2024.01.27
[Docker] Portainer agent 설치 및 추가  (0) 202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