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기초

자바 상수

안양큰스님 2022. 5. 30. 01:12

1. 상수(constant)

상수란 변수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뜻한다.

변수와 다른 점은 프로그램 실행 도중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다는 점이다.


2. 상수 사용법

상수도 변수와 동일하게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해야한다.

또한 작명 규칙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모두 대문자로 작명한다.

 

예시

1
2
// 상수 선언 및 초기화
final int NUM = 0;
cs

3. 리터럴(literal)

간혹가다 리터럴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그냥 값을 의미한다.

 

예시

1
2
final int NUM = 0;      // 리터럴은 0
final int AGE = 30;        // 리터럴은 30
cs

 


4. 타입에 따른 리터럴

자바에서 리터럴은 타입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1. 정수형 리터럴(Integer literals)
  2. 실수형 리터럴(floating-point literals)
  3. 논리형 리터럴(boolean literals)
  4. 문자형 리터럴(character literals)
  5. 문자열 리터럴(string literals)
  6. null 리터럴(null literals)

5. 리터럴 타입 접미사(literal type suffix)

자바에서 5.21과 같은 실수형 리터럴을 그대로 쓰면 실수형 타입중 기본적인 double 형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float형으로 쓰고 싶으면 리터럴 맨뒤에 F나 f를 추가해야한다.

다른 자료형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예시

1
2
float a = 5.21;     // 에러 발생
float b = 5.21f;    // 에러발생하지 않음 
cs
타입 접미사 리터럴 타입 예제
L 또는 l long형 123456789L, ...
F 또는 f float형 1.234567F, 8.9f, ...
D 또는 d (생략 가능) double형 1.2345D, 6.789d, ...

'JAVA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Date 클래스  (0) 2024.02.19
[JAVA] Wrapper 클래스의 auto boxing  (1) 2024.02.19
자바의 변수  (0) 2022.05.30
자바 자료형 - 기본 타입  (0) 2022.05.30
JDK 11 설치  (0) 2022.05.29